반응형 컴퓨터 일반53 메모리 (Memory) 1. RAM (1)DRAM (Dynamic RAM) : 미소한 콘덴서에 전하를 축적함으로써 정보를 기억한다. 일정시간마다 기억 내용을 다시 재생해주는 재생회로가 필요하다. 전력소모가 작고 칩당 기억용량이 매우 크므로 고밀도화를 이룰 수 있으나 임의의 시점에서 리드와 라이트가 불가능하므로 주로 대용량의 기억장치 구성에 적합하다. (2)SRAM (Static RAM) : 전원 공급이 유지되는 한 저장 내용을 계속 기억하는 RAM 으로 제어가 간단하며 고속이므로 소용량의 기억장치 구성에 적합하다. 특징으로는 플립플롭 논리 게이트에 의한 기억 소자로 회로가 복잡하며 기억밀도가 작고 읽기 쓰기를 고속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DRAM처럼 재생할 필요가 없다. 2.ROM (1)MASK ROM : 공장에서 대량 주.. 2010. 11. 27. 시스템의 기동 순서(Windows) ①CPU는 롬 바이오스 내의 초기화 프로그램으로 점프한다. 부트스트랩 로더라 불리는 프로그램이 시작 드라이브로 지정된 드라이브로부터 부트 레코드를 가져와 메모리에 보관한다. 부트 레코드는 장착되자마자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io.sys, msdos.sys를 차례로 메모리에 보관한다. 마지막으로 메모리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MS-DOS 명령처리 프로그램인 command.com이다. ②command.com의 상주 부분은 항상 메모리에 남아 있다. 이는 오류 메시지를 발생시키며 Ctrl+Break나 긴급한 오류를 처리하는 루틴들을 가지고 있다. 비상주 부분은 램 메모리 상위 부분에 장착되어 키보드에서 입력되는 명령을 해석한다. ③다음으로 config.sys 파일을 실행하는데 이 파일은.. 2010. 11. 27. SSH 인증키 생성 #ssh-keygen -t rsa1 -f /etc/ssh/ssh_host_key #ssh-keygen -t rsa -f /etc/ssh/ssh_host_rsa_key #ssh-keygen -t dsa -f /etc/ssh/ssh_host_dsa_key #/etc/init.d/ssh start 2010. 11. 21. BackTrack IP 설정 #vi /etc/network/interfaces auto eth0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192.168.1.10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192.168.1.255 gateway 192.168.1.1 #/etc/init.d/networking restart #cd /etc/rc2.d #ln -s ../init.d/networking S21networking 2010. 11. 21. 우분투 tomcat 설치 & 아파치 연동 http://pmguda.com/729 우분투 tomcat 설치 & 아파치 연동 2010. 8. 25.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명령 설명 ./configure configure 파일은 자신이 실행되는 머신을 이해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스크립트이다. 이 스크립트는 환경 변수, 의존성을 조사하여 어떤 소프트웨어가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configure는 프로그램을 컴파일 하는데 필요한 모든 것이 제대로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configure는 makefile을 만드는데 이 파일은 다음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configure를 실행할 때 나는 대부분의 에러는 configure가 필요로 하는 다른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make make는 configure와 같은 스크립트가 아닌 실제 유틸리티이다. make는 이전 단계에서 configure가 만든 makefile을 이용한다. make의 주요기능은 최.. 2010. 8. 14. SQL 저장프로시저 저장프로시저 - 저장 프로시저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Transact-SQL 문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개체입니다. 저장프로시저 특징 모듈 프로그래밍 자주 반복해서 사용하는 T-SQL문을 DB에 저장해 필요한 시점에만 사용함. 매번 같은 구문을 다시 작성할 필요가 없음 유연한 보완관리 데이터 조회하는 저장프로시저. 접근권한이 없어도 저장프로시저를 실행할 권한이 있다면 조회가능 네트워크 트래픽 감소 쿼리전체를 서버로 전송해서 작업하는 것이 아닌 저장 프로시저와 매개변수값만을 전달함으로 데이터량이 작음 빠른실행 저장프로시저는 실행후 쿼리 실행계획을 메모리에 저장 > 저장된 실행계획 사용 > 구문분석이나 최적화 과정 거치지 않아서 더 빠른 실행을 할수 있고 캐시에 없더라도 구문분석, 표준화등의 작업을 하지 않.. 2010. 8. 11. 아스키코드 표 10진수 16진수 8진수 2진수 ASCII 10진수 16진수 8진수 2진수 ASCII 0 0×00 000 0000000 NULL 64 0×40 100 1000000 @ 1 0×01 001 0000001 SOH 65 0×41 101 1000001 A 2 0×02 002 0000010 STX 66 0×42 102 1000010 B 3 0×03 003 0000011 ETX 67 0×43 103 1000011 C 4 0×04 004 0000100 EOT 68 0×44 104 1000100 D 5 0×05 005 0000101 ENQ 69 0×45 105 1000101 E 6 0×06 006 0000110 ACK 70 0×46 106 1000110 F 7 0×07 007 0000111 BEL 71 0×47 107.. 2010. 8. 11. utmp, wtmp 1. 시스템의 기본로그파일에 대하여 시스템에 접속을 하거나 하고있는 정보를 기록하는 파일이 있습니다. 해커가 침입을 하고난 후에는 자신의 접속정보를 삭제하는 작업을 하게되는데 아래의 파일에서 자신의 접속로그를 삭제하게된다. /var/run/utmp 또는 /var/adm/utmp /var/log/wtmp 또는 /var/adm/wtmp /var/log/lastlog 또는 /var/adm/lastlog 2. utmp 파일 먼저 utmp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파일은 현재시스템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의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시스템은 사용자가 remote로 접속을 하면 먼저 이 파일에 기록을 하고 로그아웃을 할 때에 기록해둔 정보를 삭제합니다. 그리고 이 파일의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파일은 /usr/incl.. 2010. 8. 11. [Redhat] /etc/login.defs 파일의 기능 /etc/login.defs파일을 열어보면 메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패스워드 관련사항(암호 만료일, 길이, 경고일등, 사용자 추가시 생성되는 UID의 범위, UMASK등을 설정할 수있다. ========================================================== [root@ ~]# vi /etc/login.defs # *REQUIRED* # Directory where mailboxes reside, _or_ name of file, relative to the home directory. If you _do_ define # both, MAIL_DIR takes precedence. QMAIL_DIR is for Qmail # #QMAIL_DIR Maildir #사용자 .. 2010. 8. 11. 솔라리스 profile 수정 후 바로 적용하기 #. /.profile #. /etc/profile 2010. 8. 11. 솔라리스 EEPROM 모니터모드 명령 Solaris 시스템의 전원을 켠 후 콘솔 인터럽트 키(Ctrl+A)를 누르면 EEPROM 모니터 모드로 들어간다. 시스템 설정을 초기화하는 명령은 ‘ok> set- default‘ 이다. Basic OpenBoot PROM Comman ok banner: 모델, 메모리 용량, hostid, 시스템의 PROM 버전 번호 등에 관한 정보 확인 ok printenv: NVRAM 파라미터의 디폴트 값과 현재 셋팅 값 확인 ok setenv: PROM 파라미터 값 변경 ok set-defaults: 모든 파라미터 값 디폴트로 설정 ok probe-scsi: SCSI controller에 연결된 디바이스 확인 ok probe-scsi-all: multi-system board 사용 시 SCSI controller.. 2010. 8. 11. 쉘의 특성 2010. 8. 11. vi,vim 단축키 정리 http://kldp.org/node/102947 2010. 8. 11. 솔라리스 콘쉘 설정 콘쉘은 제일 먼저 /etc/profile 의 설정을 읽어 들인후 $HOME/.profile 의 설정을 읽어 들인다. ($HOME은 홈 디렉토리 root는 / ) 그다음 $HOME/.kshrc 의 설정을 읽어 들인다. $HOME/.kshrc 파일은 $HOME/.profile에 ENV="$HOME/.kshrc"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읽어 들이지 않는다. --------------------------------------------------------------- [root@sola:/:276]# cat $HOME/.profile PATH=$PATH:/usr/local/bin:/usr/local/sbin:/usr/ccs/bin:/usr/ucb:/opt/sfw/bin EXINIT="set ai nu ts=.. 2010. 8. 11. 솔라리스 네트워크 설정 ---------------------------------------------------------- #vi /etc/hosts ::1 localhost 127.0.0.1 localhost (IP주소) (호스트명) (호스트명).mydomain.com loghost 예) 192.168.47.150 sola sola.mydomain.com loghost ---------------------------------------------------------- #vi /etc/resolv.conf domain mydomain.com nameserver (게이트웨이 주소) 예) nameserver 192.168.47.2 --------------------------------------------------.. 2010. 8. 11. setfacl 명령어 -ACL(Access Control List)- ACL(Access Control List)를 설정하거나 변경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으로 다음과 같은 3 개의 아규먼트가 쓰인다. -d 지정한 ACL 엔트리를 제거 -m 지정한 ACL 엔트리를 추가/변경 -s 지정한 엔트리로 모든 ACL를 대치 # ls -l aa -rw-r--r-- 1 root root 10 9월 27일 14:11 aa # setfacl -s u::rwx,g::r-x,o:r-x aa # ls -l aa -rwxr-xr-x 1 root root 10 9월 27일 14:11 aa # # setfacl -m u:jijoe:rw-,g:junik:r-- aa # ls -l aa -rwxr-xr-x+ 1 root root 10 9월 27일 14:11 aa # 2010. 8. 11. Shadow 파일 형식 smithj:Ep6mckrOLChF.:10063:0:99999:7::: passwd 파일과 마찬가지로 섀도우 파일도 ":" 콜론 문자로 각 항목을 구분하며 각각은 다음과 같다: 1.사용자이름. 최대 8자. 대소문자를 구분하며 대개의 경우에는 소문자로만 구성된다. /etc/passwd 파일의 사용자이름과 짝을 이룬다. 2.패스워드. 13 글자로 암호화 됨. 비어있는 경우 (즉, ::) 는 (보통은 좋은 방법이 아니지만) 로그인하는데 패스워드가 필요없다는 것을 나타내며, ``*'' 라고 되어 있으면 (즉, :*:) 그 계정은 막아두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3.패스워드를 마지막으로 바꾼 날이 (1970년 1월 1일로부터) 며칠째의 날인지 나타내는 항목. 4.최소 며칠이 지난 뒤에 패스워드를 바꿀 수 있는지를 나.. 2010. 8. 11. crontab -주기적 작업 실행- ]#crontab -l 2010. 8. 11. UNIX 계열 mysql 설치 www.mysql.com 에서 mysql 커뮤니티 서버 5.0 버전으로 운영체제 선택창 맨 아래 있는 소스 파일 선택하고 Compressed GNU TAR archive (tar.gz) 요걸로 선택해서 다운받은뒤 압축 풀고 압축 푼 파일 안에서 아래 명령어 실행 ㅇㅅㅇ VMware 환경이라면 그냥 복사 붙여넣기 신공으로 하면 간편하게 설치 완료!! 뭐, 설치하는 시점에 따라 mysql 버전이 5.0.67이 아니라 딴 걸로 바뀔 수 있으니 알아서 수정할 것!! ./configure --prefix=/usr/local/mysql-5.0.67 --localstatedir=/usr/local/mysql/data --with-charset=utf8 --with-mysql-user=mysql --sysconfdir.. 2010. 8. 11.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